• 최종편집 2024-05-13(월)
 

llllllllllllllllllllllll.jpg

 

 

 

사육 봉군의 조기 회복과 대대적 응애 방제 등을 통해 꿀벌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농진청, 검역본부, 양봉협회와 전문가 등 협의를 거쳐 꿀벌 피해 농가의 조기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7일 발표한 대책이 예견된 월동 중 꿀벌 폐사 등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 대책은 그 연장선에서 봉군증식, 피해농가 생산기반 회복 등 피해복구, 피해 발생의 만성화(재발)를 차단하기 위한 응애방제 및 예찰강화, 방제·방역시스템 강화 등에 중점을 두었다.

 

동안 정부의 피해 저감 대책 추진과 산업계 전반의 노력 등으로 월동 중 폐사는 전년과 달리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것이 전문가와 협회 등의 의견이나 정확한 월동피해 규모는 조사 중이다.

 

2021년에서 2022 동절기의 경우 월동 중 피해(40만 봉군, 피해율 14.9%)가 크게 나타난 반면, 이번 꿀벌피해는 월동에 들어가기 전인 2022년 9~11월까지 약 40~50만 봉군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22년 12월 꿀벌 사육 봉군 수는 약 247만 봉군으로 전년 동월(269만 봉군) 대비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꿀벌피해 상황은 지역별로 다르고, 농가별로도 편차가 커 일률적으로 피해를 평가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양봉산업 기반 유지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일부 농가에서 사육 봉군의 절반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를 엄중히 보고 피해 극복과 사육기반 회복에 업계와 함께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꿀벌피해 발생은 방제제에 내성을 가진 응애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과거 장기간 특정 성분(플루발리네이트)의 방제제가 널리 활용됨에 따라 방제제에 내성을 가진 응애가 확산되었고, 사육 중인 꿀벌에 피해를 입혔다.

 

또한, 양봉장 사양관리도 관행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방제제 사용법을 준수하지 않은 것도 방제 효과를 떨어뜨려 피해를 키웠다.

 

일각에서 피해 원인으로 추정하는 기후변화는 이번 꿀벌피해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한편, 사양관리가 우수해 피해가 적었던 농가들과 협력해 4월까지 피해농가에 벌통 조기 공급을 추진한다.


양봉농협 및 지역축협 등의 소속 약 400여 농가 중심으로 4월 말까지 분봉을 실시해 피해농가에 공급하고, 농촌진흥청·지역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조기 분봉을 추진하는 농가들의 사육봉군이 원활히 세력을 회복해 분봉 될 수 있도록 기술지도도 강화한다.

 

입식비, 사료비 지원 등을 통한 양봉농가의 생산비용 부담도 완화한다. 양봉농가를 대상으로 농축산경영자금(최대 1천만원, 이율 2.5%)을 지원해 봉군과 기자재 구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각 시·도별 자체 사업을 마련하여 농가별 입식비 또는 화분·기자재 구입비용을 지원(약 500억원 규모)할 계획이다.

 

밀원확충 및 이를 통한 채밀기간 확대, 첨단기술기반 병해충 관리 강화 및 우수 품종 개발․보급, 디지털 꿀벌 관리 시스템과 같은 신기술 개발․보급 등 작년 5월에 수립한 양봉산업 종합대책의 세부과제도 적극 추진해 나간다.

 

현재 농촌진흥청 중심으로 시설작물 재배농가와 꿀벌 공급이 가능한 양봉농가를 연계해 일시적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있다.

 

작물별로 살펴보면 딸기는 공급이 안정적인 뒤영벌*을 대체 활용해 꿀벌 감소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 참외는 인공 수분을 활용해 꿀벌 감소에 대응하고 있으며, 수박은 참외보다 공급 시기가 늦고, 수분에 활용된 꿀벌을 다른 농가에 재투입이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꿀벌 감소의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본격 채밀이 이루어지는 4월부터는 봉군이 신속히 회복되어 원예작물 화분 매개용 벌통 공급은 원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식품부 김정욱 축산정책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꿀벌피해를 조기 회복하고, 예방하는 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꿀벌피해 재발 방지에는 응애 적기방제가 중요한 만큼, 적극적인 방제 참여와 이상 발생 즉시 지자체에 신고하는 등 양봉농가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7344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대대적 응애 방제, 양봉산업 기반 유지 추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