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4(수)
 

IMG_3174 copy.jpg

 

 

올해 재배면적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고, 9월 중순까지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나 일조는 약간 부족한 수준으로 예상생산량은 전년보다 32만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재 일부 지역에서 벼 도열병 등 병충해 피해가 평년보다 증가하였고, 9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수확기까지 일조량 등 기상여건에 따라 작황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어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애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 김현수)애서는 2021년산 쌀 수급안정을 위해 양곡수급안정위원회 협의를 거쳐 올해 수확기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였다.

 

현재 예상생산량은 소비 감소 추세 등을 감안한 신곡 예상수요량을 초과하는 수준이나, 11.15일 쌀 생산량 조사 결과 발표(통계청)를 토대로 정확한 수급 상황을 추정할 예정이다.


올해 산지쌀값은 수확기 초기 햅쌀 수요, 지난해 작황 부진 영향 등으로 과거에 비해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다가, 중만생종(전체 재배면적의 91.5%)이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시작하면 일부 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는 2021년산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수확기에 농가가 안정적으로 벼를 출하하고, 쌀값이 급등락하지 않도록 관리하고고, 수확기 중 공공비축미 매입(35만톤)과 함께, RPC․DSC 등 산지유통업체에 벼 매입자금 3.3조원(정부 1.2조원, 농협 2.1)을 지원하여 수확기 농가 벼 출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쌀 최종 생산량(11.15일 통계청 발표)에 따라 ‘수급안정제도’상 시장격리 요건에 해당할 경우 쌀값 등 수급상황을 감안하여 시장격리 등 수급안정대책을 보완하되, 관계부처 협의, 양곡수급안정위원회 논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태풍 등에 따른 농업인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중 쌀 품위 저하를 막기 위해 병충해, 흑수 등에 의한 피해벼는 농가 희망물량을 매입하고, 재해보험 가입 피해농가에 보험금을 지급(11월~)한다.

 

또한, 병해충 발병원인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9.29~, 농진청)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 「농어업재해대책법」상 요건*을 충족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수확기 쌀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해 11~12월 동안 국산-수입산 쌀 혼합, 생산연도 혼합 등에 대한 특별단속을 추진하고, 정부양곡 유통․관리 실태도 중점 점검한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쌀 최종생산량 확정(11.15일 통계청 발표) 및 수확기 산지쌀값 등을 감안하여 수급 상황을 재점검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수급안정조치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 9545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수확기 쌀값 수급관리에 만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