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머지않아 농어촌 절반은 사람이 살지 않는 "유령 마을" 될 수도 있다.

촌집도 도시주택과 같이 1주택으로 보는 잘못된 규제가 문제 해결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구 감소 문제가 앞으로 큰 이슈가 될 것이다신생아 출생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최저 출산국가로 자리 잡은 지 오래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 초반부터 저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을 시행하고 있어 20061차 기본계획을 처음 시행하고 이에 따라 저출산 예산을 백 몇 십조 이상 써놓고도 성과는 못 내고 매년 출생률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2021-10-12 AM 08-37-39.jpg

이 출생률 문제는 우리나라가 곧 맞이하게 회색코뿔소로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든다. 회색코뿔소는 현재는 멀리서도 잘 보이는 큰 덩치의 코뿔소이지만 막상 닥치면 피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된다.

 

우리나라 정책 중 성공한 정책도 있고 그렇지 못한 정책들도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경제정책은 1960년대 이후 앞선 지도자들이 경제 정책을 잘 세워 짧은 기간 동안에 급성장을 이루어 짧은 시간에 세계의 선진국 반열에 진입한 성공적인 케이스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우리나라가 30여년 전에 시행한 산아제한 정책은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직면한 세계 최저 출생률 국가로 만든 한 요인이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지금 농어촌에는 인구유출가속화와 고령화로 지역소멸이 우려 되는 위기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이렇게 되다보니 농어촌에는 매년 빈집이 늘어나고 있어 오래지 않아 농어촌은 사람이 살지 않는 버려진 지역이 될 것이라는 우려의 생각이 많이 든다.

 

농어촌에 빈집이 늘어나는 요인은 인구유출가속화와 주로 고령자들인 주민의 사망에 따라 인구는 계속 감소하는데 인구유입은 쉽게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 시점부터 정부는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시급히 정부 정책관점을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농촌 빈집은 인구유입이 없는 한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이고 늘어나는 속도는 갈수록 빨라 질것이다.

 

그러면 농촌의 인구 유입은 가능할까?. 나는 불가능 하다고 본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은 수도권뿐이다작년인 2020년을 기점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수를추월했다고 한다.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은 주로 젊은 층에서 지속되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서라니 다시한번 각종 인프라가 잘 갖춰진 수도권 지역이 부럽다.

 

앞으로도 수도권이 아닌 다른 지역은, 비록 도시지역이라 해도 인구는 줄어들어 들 것이고, 농어촌지역은 더 급격히 줄어들 것이다.

 

오래지 않아 농어촌에 살고 있는 현재의 고령층 주민들이 사망하고 나면 우리의 농어촌은 사람이 살지 않는 대다수가 버려진 지역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으로부터 30 여 년 전에 필자는 미국여행을 간 적이 있다. 처음 가본 미국을 보면서 제일 부러웠던 곳은 공원과 사막을 보면서였다.

 

곳곳의 넓은 공원에는 거의 바비큐 시설이 되어 있어서 가족 단위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을 보고 많이 부러웠고, 또 몇 시간을 차를 타고 달려도 사람이 살지 않는 끝없는 사막을 지나면서 그때 우리나라 곳곳에는 정부에서 배출한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매립장이나 소각장 시설을 하려해도, 거의 모든 곳에서 혐오시설이라고 죽고 살기로 반대하는 것을 생각하고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쓸모없는 넓은 사막조차도 부러운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난다.

 

우리나라 농어촌 빈집문제를 정책적 관점에서 풀려면 수도권이나 특별한 관광지를 제외한 시골지역에 있는 주택에 대해서는 앞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활용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고 정부에서 지금과 같은 정책을 고집하면 농어촌지역에 대해서는 지금의 저출산 대책과 같이 어떤 정책도 먹히지 않을 것 같아 걱정이다.

 

시골이 죽은 지역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왕래하면서 빈집을 활용하도록 하는 정책의 채택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런데 우리나라 시골 빈집을 활용할 사람은 도시사람들 뿐이다.

 

우리나라 시골지역에 투자할 외국사람들을 찾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책은 모든면에서 도시사람들이 시골주택을 활용하려고 하면 법적으로 제한된다.

 

정부에서는 도시의 다주택자문제가 심각하다보니 시골에 있는 주택도 도시 주택과 같은 관점으로 1주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를 중과하는 단위로 본다

 

그러나 사실상 시골에 있는 집은 재산가치가 도시집의 10분의1 가치도 없을 뿐 아니라 투기의 대상도 아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법제는 세법상 시골 빈집 하나도 있어도 1가구 2주택자가 되어 1주택자의 양도세 면제 혜택에서 제외된다

 

그러니 시골 출신으로 상속으로 받은 시골집이 하나 있어도 그 집이 있음으로 하여 사정상 이사를 해야 할 형편이 되어 살던 집을 팔고 새로운 주택을 취득하게 되면 그 새로 산 집과, 재산가치도 없는 시골집 함께 가진 졸지에, 2주택자가 돼 양도세 중과 대상자가 되는 현실이니, 지자체마다 빈집이 해마도 늘어가도 이를 해결 할 방법도 없고 귀농, 귀촌 정책을 써도 생활이 불편한데 누가 선뜻 시골와서 살려 하겠는가?.

 

그러니 이런 농어촌 주택에 대한 정책적 시각을 바꿔 여유 있는 도시사람들은 시골의 빈집을 하나 사서 별장이라 하기는 거창하나 쉽게 저마다 멀지 않은 곳에 시골집 하나 사서 주말이면 텃밭 가꾸면서 가족들과 고기 구워 바비큐하면서 웰빙 전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해 보면 좋겠다.

 

얼마 전 어느 정치가가 우리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표현의 슬로건으로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말을 하는 것을 보았다.

 

좁은 땅덩어리 덕분에 미국과 같이 도시지역의 공원에 바비큐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면, 이제 우리나라도 소득 3만불이 넘는 선진국에 진입하였다고 하니 도시의 많은 사람들이 늘어나는 농어촌 빈집하나 장만해서 주말에는 가족과 함께 텃밭 가꾸면서 고기 구워먹을 수 있는 여유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시골집은 주택수에서 제외해 주는 과감한 정책을 채택해 줄 것을 제안 한다.

 

우리가 쉽게 사용하고 버리는 프라스틱 페트병도 버리게 되면 평생 썩지 않은 골치 아픈 쓰레기지만, 재활용 관점에서 활용하면 자원이다.

 

앞으로 우리에게 회색 코뿔소로 다가올 농어촌 빈집도 지금과 같은 정책으로 방치하면서 규제 일변도 관점으로 보면 해결 방법이 없지만 필요한 사람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 걸림돌만 제거해 준다면 우리 국민 중 많은 사람들이 삶의 질을 높여 웰빙 라이프를 즐길 수 있는 훌륭한 지역 자원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한국농어촌복지연구회 사업본부장 최맹림

태그

전체댓글 5

  • 09025
박희진

잘 읽었습니다^^

댓글댓글 (0)
우병길

동감합니다

댓글댓글 (0)
조홍철

이렇게 현실적 접근에 동의합니다.
늘어나는 시골의 빈집과 귀농 귀촌인들에게 적절하게 공유될수 있다면 좋은 기회가 될수 있다고 봅니다.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고려해봐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귀농 귀촌인으로써 심도있게 연구되었으면 합니다. 지속적인 관심 부탁합니다.

댓글댓글 (0)
예용해

훌륭한 생각이십니다
정부가 빨리 제도개선을 통해 농어촌빈집문제를
해결해야 할것입니다

댓글댓글 (0)
박홍규

농어촌 빈집에 대한 정책적 일부 대안 제시에
공감합니다
계속 발전적인 제안을 기대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댓글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최맹림 컬럼/ 농어촌빈집 이대로 방치하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